WWW(World Wide Web)
W3c 표준개발기구
웹 기술의 표준을 정의하는 공식 기관이다.!!
쿠키와 세션의 역할!!!
쿠키란?
- 쿠키는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.
-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,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
-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합니다.
-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,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,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합니다.
- Response Header에 Set-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합니다.
쿠키의 구성 요소
- 이름 : 각각의 쿠키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이름
- 값 :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
- 유효시간 : 쿠키의 유지시간
- 도메인 :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
- 경로 :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
쿠키의 동작 방식
-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
-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
-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 시켜 응답
-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쿠키 만료 기간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서 보관하고 있음
-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 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냄
-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을 때 쿠키를 업데이트 하여 변경된 쿠키를 HTTP 헤더에 포함시켜 응답
쿠키의 사용 예
- 방문 사이트에서 로그인 시, "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?"
- 쇼핑몰의 장바구니 기능
- 자동로그인, 팝업에서 "오늘 더 이상 이 창을 보지 않음" 체크, 쇼핑몰의 장바구니
쿠키(Cookie)
일주일전 자전거를 검색했는데 일주일후 광고에 자전거광고가 뜬다.
쿠키에 저장된다
쿠키 대신 local storage 을 많이 쓴다.
Local storage는 key: value로 이루어져있어서 json로 볼수 있다.
요즘 cookie 라고 안하고 local storage
Local storage 브라우저 script로 읽을수 있음
세션이란?
-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,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합니다.
-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합니다.
- 물론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 합니다.
-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,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.
- 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됩니다.
-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,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 ID입니다.
세션의 동작 방식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 받음
-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음
- 클라리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, 이 쿠키의 세션 ID를 같이 서버에 전달해서 요청
-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
-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
세션의 특징
- 각 클라이언트에게 고유 ID를 부여
- 세션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해서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
- 보안 면에서 쿠키보다 우수
-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됨
세션의 사용 예
- 로그인 같이 보안상 중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
세션타임
거의 모든 시스템은 세션을 관리한다.
리소스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로그인할때 세션타임을 관리한다.
Login -> 인증 id/pass
2.Factor 인증
Otp (one time password)
X.509(DAP)(Directory Access Protocol)
LDAP(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)
Protocol 규약
표준과 규약을 정하는 이유
가용성(Availability): 가용성이란, 서버와 네트워크 또는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의미합니다. 시스템의 가동률과 비슷한 의미입니다.
고가용성(High Availability): 1번이 다운됐을때 99개가 돌고있어서 서비스에 문제가 없다.
시스템이 다운되지않고 나한테 서비스를 해줄수 있는 것.
인증, 인가, 권한ACL(Aceess Control Level)
RBAC(Role Base Aceess Control)
OSI 7 Layer 란?
rwx
x(excute) : 파일을 excute, 실행할 수 있는 권한
Chmode
읽고 쓰고 실행 = 7
실행이 없으면 = 6
쓰기까지 없으면 = 5
Chown
Chmod
조사해서 학습내용에 추가
Ipv6 와 ipv4 의 차이 공부하기
INDEX란 무엇인가.
파일정렬 형식?
문서에 DATA가 있다.
DB INDEX는 문서DATA를 찾기 쉽게 한다.
Http는 무엇인가.
Http - html
은 그냥 html을 화면에 뿌려주는 역할
Http - server - db 는
무언가를 작동해야 하는 역할을 할때
'건강을 지키는 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기초공부 (2) | 2022.09.04 |
---|